조선시대 고어사전 (ㄱ ~ ㅁ)
가례[嘉禮] 왕의 즉위나 성혼, 왕세자·왕세손의 탄생이나 책봉 또는 성혼 등의 예식.
가류곡 [加留穀] = 환곡
가성직제도 [假聖職制度] 한국 초기 가톨릭교회의 모의 성직제. 1786년부터 2년 동안
존속되었다.
가자 [加資] 관원들의 임기가 찼거나 근무 성적이 좋은 경우 품계를 올려 주던 일.
또는 그 품계. 왕의 즉위나 왕자의 탄생과 같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일이 있거나,
반란을 평정하는 일이 있을 경우에 주로 행하였다
가좌책자 [家坐冊子] 백성들의 집과 가족관계, 생활수준 등을 기록한 책자. 지방관이
기록 할 의무가 있었으며 세금부과의 기준이 되었다.
가중화척 [中和尺] 조선 정조 이후, 중화절(中和節)에 임금이 농업에 힘쓰라는 뜻으로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던 자.
가집 [加執] 지방관이 백성들에게 지방 관아의 양곡을 팔 때 지정된 액수보다 높은
가격으로 팔아 그 차액을 착복하던 일. ≒가분(加分).
가야금산조 [伽倻琴散調] <음악> 가야금으로 산조 가락을 연주하는 독주곡. 일정한 형식
이 없이 마음 내키는 대로 타는데, 대개 느린 템포의 진양조에서 시작하여 중모리,
중중모리, 휘모리, 단모리의 차례로 진행한다.
각신 [閣臣] 조선 후기에 둔 규장각의 벼슬아치
각주구검 [刻舟求劍]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간경 [肝經] 1 <의학> 간에 붙은 인대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한의학> =족궐음간경.
갈충[蝎虫] 가래나무 잎을 먹고 사는 벌레.
감사 [減死] 사형을 면하게 형벌을 감하여 주던 일.
감영 [監營] 관찰사가 직무를 보던 관아,
감영 [監營] 관찰사가 직무를 보던 관아. ≒상영(上營)·순영(巡營)·영문(營門) ·포정사.
감은바닥 : 땅에 덮힌 눈이 녹아서 땅바닥이 드러나 보이는 곳
감홍난자 [酣紅爛紫] 가을에 단풍이 울긋불긋함.
감화 [感化] 좋은 영향을 받아 생각이나 감정이 바람직하게 변화함. 또는 그렇게 변하
게 함. ≒염화(染化) ·화감(化感).
갑작바람: 갑자기 세게 부는 바람
갑족 [甲族] 가문이나 문벌이 아주 훌륭한 집안.
강명 [講明] 연구하여 밝힘.
강서 [講書] 1 옛글의 뜻을 강론함. 2 과거에서 사서오경에 대하여 구술시험을 보던
과목. 장막을 치고 얼굴을 볼 수 없게 하였다.
강쇠바람 : 첫 가을에 부는 동풍
강포하다 [형용사] 몹시 우악스럽고 사납다.
개차반 언행이 몹시 더러운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개차반 : ‘행세나 마음보가 몹시 더러운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건달 : 불교용어인 '건달바(乾達婆)'에서 온 말이다.
건도 [建都] 나라의 도읍을 세움.
건들장마 : 초가을에 비가 쏟아지다가 번쩍 개고 또 오다가 다시 개는 장마.
검토관 [檢討官] 조선 시대에 경연청에서 강독(講讀)과 논사(論 思)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정육품 벼슬.
격례 [格例] 명사 격식으로 되어 있는 관례
격쟁 [擊錚] 1 징이나 꽹과리를 침. 2 원통한 일을 당한 사람이 임금이 거둥하는 길에서
꽹과리를 쳐서 하문을 기다리던 일
견여 [肩輿] 큰 상여를 쓰는 행상(行喪)에서, 좁은 길을 지날 때 임시로 쓰는 간단한 상여.
견책 [譴責] 허물이나 잘못을 꾸짖고 나무람. ≒감발(勘發).
결복 [結卜] 1 짐짝을 묶음. 2 토지세 징수의 기준이 되는 논밭의 면적에 매기던 단위인
결, 짐, 뭇을 통틀어 이르는 말.
결작 [結作] 조선 후기에, 균역법의 실시에 따른 나라 재정의 부족을 메우기 위하여 논밭
의 소유자에게 부과한 부가세.
결작미 [結作米] 조선 후기에, 균역법의 실시에 따른 군포의 부족을 메우기 위하여 거두
어들이던 쌀.
결작전 [結作錢] 조선 후기에, 균역법의 실시에 따른 나라 재정의 부족을 메우기 위하여
전결(田結)에 덧붙여 거두어들이던 돈. ≒결(結)·결전(結錢).
겸관 [兼官] =겸직. 한 고을 원의 자리가 비었을 때 이웃 고을 원이 임시로 겸하여 그
사무를 맡아봄.
겸록부장 [兼祿部將] 조선 후기 좌·우 포도청에 둔 군직. 가설부장, 겸포도라고도 한다.
1703년(숙종 29) 내금위(內禁衛), 금군에 소속된 군관 12명을 좌·우 포도청에 배치
하여 겸록부장이라 부르고 서울 근교에서 발호하는 강도들을 색출하도록 하였다.
겸사복 [兼司僕] 기마병으로 편성한 금군(禁軍). 100명씩으로 편성한 두 부대가 임금의
신변 보호를 맡았다.
경각사 [京各寺] <불교> 서울 가까이 있는 모든 절을 통틀어 이르는 말.
경각사 [京各司] 서울에 있던 관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경국대재 [經國大才] 나라의 일을 맡아 다스릴 만한 큰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인물.
경도 經度 = 월경
경모궁 [景慕宮] 사도 세자와 그의 비(妃) 헌경 왕후의 신위를 모신 사당. 본래 창덕궁
안에 있었으나, 헌종 5년(1839)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경장 [更張] 1 고쳐서 확장함. 2 정치적·사회적으로 묵은 제도를 개혁하여 새롭게 함.
3 거문고의 줄을 팽팽하게 고쳐 맴.
경장 [更張] 개혁. 뜯어 고침.
경장 [更張] 뜯어고침. 개혁
경조 [經早] <한의학> 월경 주기가 짧아져 정상보다 일주일 이상 빨라지거나, 심하면
한 달에 두 번 오는 일.
경조 [京兆] =서울
계달 (啓達) = 계품[啓稟]. 신하가 글로 임금에게 아뢰던 일
계목 [啓目] 중앙의 관부에서 국왕에게 올리던 문서 양식의 하나.
계방 [契房] 조선 후기에, 백성들이 군역·잡역 따위를 덜거나 불법 행위를 묵인받기
위하여 구실아치에게 뇌물을 주던 일.
계본 [啓本] 임금에게 큰일을 아뢸 때 제출하던 문서 양식
계사 [計仕] 관원들의 출근 일수를 계산하던 일.
계사 [計士] 호조(戶曹)에 속하여 회계 실무를 맡아보던 종팔품 벼슬.
계왈 [啓曰] 상급 기관에서 하급 기관으로 내려오는 공문의 시작
계품 [啓稟] 신하가 글로 임금에게 아뢰던 일. ≒계달(啓達)·계문(啓聞)·계주(啓奏).
고동조 [高動藻] 해조류 중에 녹두알 같고 속이 빈 것
고마청 [雇馬廳] 조선 후기에, 고마법의 실시로 사신이나 수령 등의 교체나 진상물의
운반 따위에 필요한 말에 관한 제반 업무를 맡아보던 관아.
고몽 [瞽矇] 소경이 담당해 노래 부르던 벼슬
고스러지다 : [그 밖] 벼, 보리 등이 벨 때가 지나서 이삭이 구부러져 앙상하게 되다.
고신 [拷訊] =고문(拷問).
고신 [告身] =직첩(職牒). 조정에서 내리는 벼슬아치의 임명장.
고신 [孤臣] 임금의 신임이나 사랑을 받지 못하는 신하.
고염무 [顧炎武] <인명> 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의 사상가(1613~1682). 자는
영인(寧人). 호는 정림(亭林). 명나라 말기의 양명학이 공리공론에 치우치자 경세
치용의 실학에 뜻을 두어 실증적 학풍의 기초을 닦았다. 황종희, 왕부지와 함께
청조의 삼대사(三大師)로 꼽힌다. 저서에 《일지록》, 《천하군국이병서》, 《금석
문자기(金 石文字記)》
고요 [皐陶] <문학>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인물. 순(舜)임금의 신하로, 구관(九官)의 한
사람이다. 법과 형벌을 제정하고, 옥(獄)을 만들었다고 한다.
고운매 : 아름다운 맵시나 모양. 또는 아름다운 여인.
고적 [考績] 관리의 근무 성적을 평가하여 결정하던 일. 승진과 좌천, 포상과 처벌에
반영 하였다. ≒고공(考功) ·고사 ·고적(考績).
고주리미주리 : 아주 잘고 소소한 데까지 죄다 드러내는 모양. 고주알미주알
고주망태 : 술을 많이 마시어 정신을 차릴 수 없이 취한 상태.
고총 [古塚] 오래된 무덤.
고추바람: 맵고 독하게 부는 찬바람
곡례 [曲禮] 예식이나 행사의 몸가짐 따위에 대한 자세한 예절.
곡반 [哭班] 국상(國喪) 때 곡을 하던 벼슬아치의 반열.
곡반 [哭班] 국상(國喪) 때 곡을 하던 벼슬아치의 반열.
곤수 [梱帥/閫帥] 평안도와 함경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를 통틀어 이르던 말.
곤욕 [困辱] 심한 모욕. 또는 참기 힘든 일. ≒군욕(窘辱).
곤죽 : ‘엉망이 되어 갈피를 잡기 어려운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곧추 : 굽히거나 구부리지 않고 곧게.
곧추다 : 굽은 것을 곧게 하다. # 구부정한 허리를 곧추다.
곧추뜨다 : [행동] 1. 아래 위가 곧게 뜨다 2. 눈을 부릅뜨다.
골무 : 바느질할 때 손가락에 끼는 것.
골풀 골풀과의 풀. 약재나 돗자리 재료에 쓰인다.
곰방대 : 짧은 담뱃대.
곰삭다 : 옷 같은 것이 오래 되어서 올이 삭고 품질이 약하여지다.
곰살궂다 : 성질이 부드럽고 다정스럽다.
곱살이 끼다 : ‘남이 하는 일에 곁다리로 끼다.’는 뜻이다.
곱새기다 : 1. 되풀이하여 곰곰 생각하다 2. 곡해하다 3. 고깝게 여기다
공경대부 [公卿大夫] 삼공과 구경, 대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공궤 [供饋] 윗사람에게 음식을 드림.
공불 [供佛] <불교> 부처에게 공양함.
공불승사 [公不勝私] 공(公)이 사(私)를 이기지 못한다는 뜻으로, 공적인 일에 사사로운
정이 끼게 마련임을 이르는 말.
공사천 [公私賤] =공사천구(公私賤口), 공천(公賤)과 사천(私賤)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공노비와 사노비
공심돈 [空心墩] 성(城)에 있는 돈대(墩臺)의 하나. 내벽과 외벽을 원형 또는 방형(方形)으
로 2~3층 쌓아 올리고 위에는 누정을 세웠으며, 벽에 총구를 내어 내·외벽을 돌면서
적을 사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 건설한 화성에는 이러한 성곽 건축
구조물이 세 개 있다.
공족 [公族] 명사 왕(王)이나 공(公) 따위의 신분이 높은 사람의 동족(同族).
곽란증 [癨亂症] 위경련
관곡하다 매우 정답고 친절하다.
관곽전 [棺槨廛] 관과 곽 등 장의상
관동 [關東] <지명> =영동(嶺東). 강원도
관령 [官令] 관청의 명령 또는 한성5부의 우두머리로 오늘날 구청장 직급.
관록 [館錄] =홍문록. 홍문관의 명단.
관서 [關西] <지명> 마천령의 서쪽 지방. 곧 평안도와 황해도 북부 지역을 이르는 말.
관안 [官案] 벼슬아치의 이름과 벼슬을 적은 책. 벼슬아치들의 성적을 매겨 포폄
(褒貶)의 참고 자료로 삼았다.
관요 [官窯] 관수용(官需用) 도자기를 만들기 위해 두었던 정부 직영의 도요(陶窯).
왕실용 도자기를 구워내기 위하여 정부에서 직영 관리했던 가마를 말한다.
광구 [匡救]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광구 [匡救]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광중 [壙中] 시체가 놓이는 무덤의 구덩이 부분을 이르는 말
광중 [壙中] 시체가 놓이는 무덤의 구덩이 부분을 이르는 말. ≒광내(壙內)·광혈(壙穴)
괴괴하다 : 쓸쓸할 정도로 아주 고요하고 잠잠하다
교생 [校生] 향교에 다니던 생도. 원래 상민(常民)으로, 향교에서 오래 공부하면 유생
(儒生)의 대우를 받았으며, 우수한 자는 생원 초시와 생원 복시에 응할 자격 얻음.
교졸 [校卒] 군아(郡衙)에 속한 군교(軍校)와 나졸(羅卒).
구곡간장 [九曲肝腸] 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으로, 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례 [舊例] 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관례.
구릉 [丘陵] 언덕으로 순화.
구방 [舊邦] 오래전에 세워져 역사가 오래된 나라.
구언 [求言] 임금이 신하의 바른말을 널리 구함.
구장 [九腸] 모든 창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구장 [鳩杖] 임금이 70세 이상 되는 공신이나 원로대신에게 주던 지팡이로서 소잡이에
비둘기 장식이 있다.
구종 [驅從] 벼슬아치를 모시고 따라다니던 하인.
구진 [丘疹] <한의학> 살갗에 돋아나는 발진. 두드러기
국궁 [鞠躬] 윗사람이나 위패(位牌) 앞에서 존경하는 뜻으로 몸을 굽힘.
국궁진췌 [鞠躬盡瘁] 몸과 마음을 다하여 나랏일에 힘씀.
국맥 [國脈] 나라의 명맥.
군문효수 [軍門梟首] =군문효시. 죄인의 목을 베어 군문 앞에 매어 달던 일.
군입정 : [음식] 때없이 음식으로 입을 다시는 일.
군포 [軍布] 병역을 면제하여 주는 대신으로 받아들이던 베. ≒군보(軍保) ·군보포·군역포·
군호 [軍號] 도성이나 대궐의 순라군이 자기편의 식별이나 비밀의 보장을 위하여 쓰던
암호나 신호.
궁노 [宮奴] 궁방(宮房)에 딸리어 있던 사내종
궁시 [弓矢] 활과 화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궁전(弓箭).
궁시 [弓矢] 활과 화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궁전(弓箭).
궂은비 : 끄느름하게 길게 오는 비
권도 [權道] 목적 달성을 위하여 형편에 따라 임기응변으로 일을 처리하는 방도.
권징 [勸懲] =권선징악.
궤연 [几筵] 죽은 사람의 영좌(靈座)와 그에 딸린 물건들을 차려 놓는 곳
귀빠진 날 : 태아의 귀가 보이면 출산이 완료된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출생시간은
귀빠지는 순간
귀성 [歸省] 부모를 뵙기 위하여 객지에서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귀근(歸覲).
귀탁 [歸橐] 고을의 수령이 임기를 끝내고 돌아갈 때에 가지고 가던 짐.
균역법 [均役法] 영조 26년(1750)에 백성의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만든 납세
제도. 종래의 군포를 두 필에서 한 필로 줄이고, 부족한 액수는 어업세·염세·선박세·
결작 따위를 징수하여 보충하였다.
균역청 [均役廳] 조선 후기에, 균역법의 실시에 따른 모든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영조 26
년(1750)에 균역절목청을 설치하여 다음 해 9월 균역법을 실시하면서 정식 관아가
되었으며, 29년(1753)에 선혜청에 흡수·통합되었다. ≒균청.
극벌지계 [克伐之誡] 천주교의 7극
극역 [極逆/劇逆] 임금과 나라에 큰 죄가 되는 것 가운데서 가장 흉악한 것.
금고 [金膏] 귀한 화장품.
금고 [禁錮] 1 자유형의 하나. 교도소에 가두어 두기만 하고 노역은 시키지 않는다.
≒금고형. 2 조선 시대에, 신분에 허물이 있는 사람을 벼슬에 쓰지 않던 일.
금과옥조 [金科玉條] 금이나 옥처럼 귀중히 여겨 꼭 지켜야 할 법칙이나 규정.
금군 [禁軍]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경비하던 친위병. ≒금위군(禁衛軍)·
금군별장 [禁軍別將] 조선 후기에, 금군청이나 용호영에 속하여 왕의 친위병을 실제로
통할 하던 벼슬. 병조 판서가 겸임하던 대장의 다음 직위로, 품계는 종이품 가선
대부(嘉善大夫)이다. ≒금별(禁別).
금등 [金藤]의 서(書)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의 내막을 적은 책
금리 [禁吏] 의금부와 사헌부에 속하여 도성 안의 범법 행위를 단속하던 하급 벼슬아치.
금부도사 [禁府都事] 의금부에 속하여 임금의 특명에 따라 중한 죄인을 신문(訊間)하는
일을 맡아보던 종오품 벼슬.
금오 [金吾] =의금부.
금원 [禁苑] 궁궐 안에 있는 동산이나 후원
금인 [金印] 황금으로 만든 도장.
급촉(急促) : 급박하다, 급하다, 촉박하다, 빠르다.
기구 [氣毬] 고려 시대에, 발로 차던 운동 기구의 하나. 둥근 가죽 주머니 속에 돼지
오줌통을 넣고 바람을 채워서 만들었다.
기려 [羈旅/羇旅] 객지에 머묾. 또는 그런 나그네.
기려지신 [羇旅之臣] 외국에서 귀화해 벼슬하는 신화, 또는 나그네.
기름조 [其廩藻] 해조류 중에 가지 끝에 밀알 같고 속이 빈 것
기민 [飢民/饑民] 굶주린 백성.
기부 [基部] 기초가 되는 부분.
기부 [記府] 문서를 보관하던 곳.
기부 [機婦] 베를 짜는 여자.
기사관 [記事官] 춘추관에 둔 벼슬. 품계는 정육품에서 정구품까지 있었으며, 실록을
편찬할 때 기초 자료로 삼았던 시정기를 기록하는 일을 담당.
기스락 : 초가의 처마끝
기시 [棄市] 사람들이 모인 곳에서 죄인의 목을 베고 시체를 길거리에 버리던 형벌.
기시 맹인들의 은어로, ‘밥’을 이르는 말.
기우 [奇偶] <수학> =홀수와 짝수
기찰 [畿察] 경기도 관찰사를 달리 이르던 말
기찰 [箕察] 평안도 관찰사를 달리 이르던 말.
기총 [旗總] 50명 내외로 구성된 기를 통솔하는 하급무관
기총 [旗摠] 조선 후기에, 50명 내외로 구성된 기(旗)를 통솔하는 하급 지휘관.
기포 [譏捕] 강도나 절도를 탐색하여 체포하던 일. 포도청과 훈련도감, 총융청 따위의
오군영(五軍營)에서 맡아보았다.
기한 [飢寒/饑寒] 굶주리고 헐벗어 배고프고 추움.
기호 [畿湖] <지명> 우리나라의 서쪽 중앙부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 경기도와 황해도
남부및 충청남도 북부를 이르는 말이다.
길경 [桔梗/吉更] <식물> ‘도라지’로 순화.
길라잡이 : 길을 인도하는 사람. (줄인말 : 길잡이)
길섶 : 길의 가장자리
김노진 [金魯鎭] 정조 5년 형조판서로서 소관사무에 통칙(通則)을 세우기 위하여,
박일원(朴一源)에게 위촉하여 《추관지(秋官志)》를 완성했다.
까부랑번개 : 방전불꽃이 직선이 아니라 까부라져 보이는 번개
꺾쇠 : [연장, 도구] 잇댄 두 나무가 벌지 않도록 두 나무 사이에 박는 'ㄷ'자 모양의
쇠토막. '꺾쇠를 치다' 또는 '꺾쇠를 지르다'라
꼭지 : 거지나 딴꾼의 우두머리. ≒꼭지딴.
꽁무니바람: 뒤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꽃무덤: 아까운 나이에 죽은 젊은이의 무덤.
꽃잠: 신랑, 신부의 첫날밤 잠.
나달거리다 : [양태] 여러 가닥이 늘어져 흔들거리다.
나들목 : 나가고 들고 하는 길목
나졸 [羅卒] 지방 관아에 속한 사령(使令)과 군뢰를 통틀어 이르던 말.
나풀나풀 : 가볍고 날렵하게 움직이는 모양. 또는, 잇달아 가볍게 나부끼는 모양
낙서 [落書] 글을 베낄 때에, 잘못하여 글자를 빠뜨리고 씀.
낙양춘 [洛陽春] =낙양춘곡. 고려 시대에,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온 사악(詞樂)의 하나.
문묘 제향 때 아뢰는 제례 아악(祭禮雅樂)으로 중국 주나라의 아악을 본뜬 것.
난전 [亂廛] 1 허가 없이 길에 함부로 벌여 놓은 가게. 2 나라에서 허가한 시전(市廛)
상인 이외의 상인이 하던 불법적인 가게.
낟가리 : [농사] 낟알이 붙은 채로 있는 곡식을 많이 쌓은 큰 더미
남도병마절도사 [南道兵馬節度使] 남병영에 주재한 병마절도사를 이르던 말. 종이품의
무관 벼슬로 수군절도사를 겸하였다.
납물교생 [納物校生] 군역을 면하려고 지방 수령이나 향교에 금품을 내고 향교에 적을
둔 학생.
내각 [內閣] 1 규장각의 이문원과 봉모당(奉謨堂)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내명부 [內命婦] 궁중에서 품계를 받은 여인을 통틀어 이르는 말. 빈(嬪), 귀인(貴人),
소의(昭儀), 숙의(淑儀), 소용(昭容), 숙용(淑容), 소원(昭媛), 숙원(淑媛), 상궁 따위.
내탕고 [內帑庫] 왕실의 재물을 넣어 두던 창고.≒내탕.
내탕금 [內帑金] 내탕고에 넣어 두고 임금이 개인적으로 쓰던 돈.≒내탕전·탕전(帑錢).
냇내 : 연기의 냄새. 음식에 밴 연기의 냄새.
너스레 : ‘떠벌려 늘어놓는 말솜씨’를 뜻하는 말이다.
넉 장 뽑다 : ‘어떤 일이나 태도가 불분명하고 어물어물하다’는 뜻이다.
노고지리 : [옛] 종달새
노불 [老佛] 노자와 석가. ≒불로(佛老). 도교와 불교.
노잣돈 : 먼 길을 오가는 데 드는 비용
녹계 [錄啓] 적어서 보고함.
녹명 [錄名] =기명(記名).
녹명관 [錄名官] =과거 응시자가 종이를 구입하여 등록[錄名]할 때 제출하면 서울에서
는 녹명관이, 지방에서는 감사(監司)의 주관 아래 인장을 찍고 되돌려 준다.
논계 [論啓] 신하가 임금의 잘못을 따져 아룀.
논척 [論斥] 옳고 그름을 따져 물리침.
농아 [聾啞] 귀머거리와 벙어리를 겸한 것.
농정 [農政] 1 농사를 경영하는 일. 농업 행정을 줄여 이르는 말.
높새바람 : 북동풍
뇌록 [磊綠] 잿빛을 띤 녹색의 칠감. 바닥칠에 많이 쓴다.
누리 : 큰 빗방울이 공중에서 갑자기 찬 기운을 만나 얼어서 떨어지는 것. 우박
누조 [漏槽] 성의 바깥문 위에 지은 다락집 둘레에 모인 물이 흘러내리도록 판 홈.
누조 [累朝] 여러 대를 이어 온 조정이나 왕위.
누조 [累祖] 여러 대의 조상.
눈까비 : 녹으면서 내리는 눈
눈엣가시 : 몹시 미워 눈에 거슬리는 사람. 특히 본처가 시앗을 이름.
눈자라기 : 아직 곧추 앉지 못하는 어린아이
능범 [凌犯/陵犯] 무리하게 침범함.
능화지 [菱花紙] 마름꽃의 무늬가 있는 종이.
다락밭 : 비탈진 곳에 층이 지게 만든 밭
다모 [茶母] 경각사(京各司)에 속하여 차를 끓여 대는 일을 맡아 하던 여자.
다복다복 : 풀이나 나무 같은 것이 여기 저기 한데 뭉쳐 다보록하게 있는 모양
다솜 : '애틋한 사랑'의 옛말
단부 [單付] 단망(單望)으로 벼슬아치를 골라 정하던 일. 삼망이 아니라 단망임.
당방인구 [當房人口] 거느리던 노비.
당상 [堂上] 1 대청 위. 2 조선 시대에 둔, 정삼품 상(上) 이상의 품계에 해당하는
벼슬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문관은 통정대부, 무관은 절충장군, 종친은 명선대부,
의빈(儀賓)은 봉순대부 이상이 이에 해당.
당질 [堂姪] =종질(從姪). [명사]사촌 형제의 아들로, 오촌이 되는 관계
당화 [黨禍] 당파 싸움으로 생기는 재앙과 피해.
대간 [臺諫] 대관과 간관을 아울러 이르던 말.
대강 [大綱] 자세하지 않은, 기본적인 부분만을 따 낸 줄거리. ‘요지’, ‘줄거리’로 순화.
대견하다 : 흐뭇하도록 마음에 흡족하다. 무던히 대단하거나 소중하다
대계 [臺啓] 사헌부와 사간원의 대간(臺諫)들이 벼슬아치의 잘못을 임금에게 보고하던 글.
대계 [臺啓] 사헌부와 사간원의 대간(臺諫)들이 벼슬아치의 잘못을 임금에게 보고하던 글.
대교 [大敎] =화엄경.
대교 [待敎] 2 조선 시대, 규장각에 속한 정칠품에서 정팔품까지의 벼슬.
대독관 [對讀官] 임금이 몸소 보이는 과거에서 독권관을 보좌하기 위하여 임시로 임명
하던 벼슬. 정삼품 이하의 벼슬아치가 맡았다.
대명률 [大明律] <책명> 중국 명나라 때의 형법전(刑法典). 당나라의 법률을 참고하여
편찬했으며, 명례율·이율·호율·예율·병률·형률·공률의 7편으로 이루어졌다. 조선의
《경국대전》및《경제육전》의 제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30권. ≒명률(明律).
대상 [大祥] 사람이 죽은 지 두 돌 만에 지내는 제사.
대아 [大雅] <음악>《시경(詩經)》 육시(六詩)의 하나. 큰 정치를 말한 정악(正樂)의 노래
대재 [大齋] <가톨릭>‘단식재’의 전 용어. <불교>크게 음식을 베풀어 중들을 공양하는 일.
대저 [大抵] [부사]대체로 보아서.
대정 [大政] 해마다 음력 12월에 행하던 대규모의 인사(人事) 행정.
대통 [臺通] 조선 시대에, 사헌부나 사간원의 관원을 임명할 때 세 사람의 후보자 가운
데 서 추천하던 일. ≒대망(臺望).
댕기풀이 : '관례나 혼인을 하고 나서 동무들에게 한턱내는 일'을 가리키는 말이다.
데면데면 [부사] 성질이 꼼꼼하지 않아 행동이 신중하거나 조심스럽지 않은 모양.
도가 [徒歌] <음악> 국악에서, 주악(奏樂) 없이 노래만 부르는 일.
도가 [都家] 1 동업자들이 모여서 계나 장사에 대한 의논을 하는 집. 2 계나 굿 따위의
마을 일을 도맡아 하는 집.
도가사령 [導駕使令] 도가(導駕)를 지휘하는 벼슬아치에게 딸린 심부름꾼
도당 [徒黨] 1 불순한 사람의 무리. 2 집단을 이룬 무리.
도둑눈 : 밤 사이에 사람 모르게 내리는 눈
도리깨 : 이삭을 두드려서 알갱이를 떠는 데 쓰는 연장. 기름한 막대기나 대나무 끝에
구멍을 뚫고 도리깨 꼭지를 가로 박아서 돌게 하고, 그 꼭지 끝에 휘추리 3∼4개를
나란히 세로 달아, 휘두르며 치게 만들었다
도반 [道伴] <불교> 함께 도를 닦는 벗.
도사 [都事] 충훈부·중추부·의금부 따위에 속하여 벼슬아치의 감찰 및 규탄을 맡아보던
종오품 벼슬
도신 [道臣] =관찰사, 감사
도자소 남성의 양물을 자르는 곳.
도제 [徒弟] =제자(弟子).
도제조 [都提調] 승문원, 봉상시, 사역원, 훈련도감 따위의 으뜸 벼슬. 정승이 겸임하거
나 정승을 지낸 사람을 임명하였으나, 실무를 보지는 않았다. ≒도상(都相).
도통 [悼痛] 남의 불행이나 죽음을 슬퍼함.
도형 [徒刑] 오형(五刑) 가운데 죄인을 중노동에 종사시키던 형벌. 일 년, 일 년 반, 이 년,
이 년 반, 삼 년의 다섯 등급이 있었다. 이를 감하기 위해서는 징역 일 년에 대해
곤장 육십 대를 치고 한 등급마다 열 대씩 증가시켜 맞도록 하였다. ≒도·도죄.
돋을볕 : 처음으로 솟아오르는 햇볕
동달이 ≒협수(夾袖). 검은 두루마기에 붉은 안을 받치고 붉은 소매를 달며 뒷솔기를
길게 터서 지은 군복.
동티 : 흙 따위를 잘못 다루어 지신의 노여움을 사서 재앙을 받는 일.
되모시 : [사람] 이혼하고 다시 처녀 행세를 하는 여자
되작거리다 : [행동] 물건을 찾느라고 이리저리 들추어 뒤지다
된바람, 뒷바람 : 북쪽에서 부는 바람.
두레 : 농촌에서 농번기에 서로 협력하여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해 만든 조직
둑제 [纛▼祭]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행렬 앞에 세우는 둑에 지내던 제사.
둔전 [屯田] 변경이나 군사 요지에 주둔한 군대의 군량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치한 토지.
군인이 직접 경작하는 경우와 농민에게 경작시켜 수확량의 일부를 거두어 가는 두
가지 경우가 있었다. ≒영진둔전.
드리다 : 곡식에 섞인 티, 검불 등을 바람에 날리다.
득달같다 : 조금도 머뭇거림이 없다
들머리 : 들어가는 첫머리
들병이 들병이를 파는 천한 여자, 술을 팔며 몸도 함께 파는 여자
등신(等神): '사람의 모양대로 만든 신의 형상' 이라는 의미로 줏대 없는 사람을 일컬음.
땅거미 : 저녁 해가 진 뒤에 차츰 어두워지는 것
떡비 : "가을에 내리는 비"를 의미하며 가을에 비가 오면 떡을 해 먹는다는 의미
떨이 : [물건] 다 떨어 싸게 파는 나머지 물건.
또아리 : [물건] 짐을 일 때 머리에 받치는 고리모양의 물건
뙤약볕 : 되게 내리쬐는 뜨거운 볕
류구 [琉球] 오키나와
마계우 [溪友] 속세를 떠나 산속에 숨어 사는 벗. 치 馬齒 말의 이빨
마당맥질 : [일] 우둘투둘한 마당에 흙을 이겨 고르게 바르는 일.
마당밟이 : [놀이] 섣달 그믐날 밤에 풍물을 치며 집집이 돌아다니며 노는 놀이
마전 [麻田] =삼밭.
마파람 : 남풍.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동풍은 '샛바람' 서풍은 '하늬바람' 동북풍은
'높새바람' 우리 나라의 집들이 대문을 남쪽으로 둔 남향(南向)인 것에서 남쪽
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마주 오는 바람'이란 뜻으로 됨. '마'는 '남쪽'을 이름
막서리 : 남의 집에서 막일을 해 주며 살아가는 사람.
막차 [幕次] 의식이나 거둥 때에 임시로 장막을 쳐서, 왕이나 고관들이 잠깐 머무르게
하던 곳.
말구종 말을 모는 하인
말구종 벼슬아치의 말을 모는 하인.
맞배지붕 : [집, 건축] 지붕의 완각이 막 잘려진 지붕
매우틀 =매화틀. 왕이 사용하는 변기로서 왕이 외출할 때 복이나인이 휴대하고 다녔다.
매지구름 : 비를 머금은 조각구름
맥근 [麥根] 보리 뿌리
머슴밥 : 수북하게 많이 담은 밥. 머슴이 밥을 많이 먹는 데서 나온 말.
멍에 : 마소의 목에 얹어 수레나 쟁기를 끌게 하는 둥그렇게 구부러진 막대.
메 : [도구] 물건을 치는 데 쓰는 연장. 묵직한 나무 토막이나 쇠 토막에 구멍을 뚫고
자루를 박은 것. 떡을 치는 메를 떡메, 쇠로 만든 메를 쇠메라 함.
면리 [面里] 지방 행정 단위인 면(面)과 이(里)를 아울러 이르는 말.
면약 : 달걀과 살구 씨 분말을 섞은 것, 꿀과 마늘을 섞은 것을 기름에 융해한 것을 크림
의 원료로 사용했다. 얼굴을 희게 하거나 피부를 보호하는데 효과가 좋은 뿐만 아니
라 겨울철 동상을 예방하는 데로 효과가 탁월하다. 래된 적혈구나 혈소판을 파괴하
거나 림프구를 만들어 내는 작용을 한다.
멸문지화 [滅門之禍]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명계 [冥契] 1 모르는 사이에 서로 뜻이 맞음. 2 죽은 남녀가 혼인함
명금 [鳴金] 징, 나(鑼) 또는 바라를 쳐 울림.
명도 [冥途] <불교> 사람이 죽은 뒤에 간다는 영혼의 세계.
명유 [名儒] 이름난 선비. 또는 유명한 유학자.
명지바람 : 보드랍고 화창한 바람
모라기 : 바람같은 것이 한번 몰아쳐 부는 것
모르쇠 : 아는 것이나 모르는 것이나 전부 모른다고 잡아떼는 일.
모름지기 : 마땅히, 차라리. # 청년은 모름지기 씩씩해야 한다
모리배 [謀利輩] 온갖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사람. 또는 그런 무리.
모반 [謀反] 1 배반을 꾀함. 2 국가나 군주의 전복을 꾀함.
모반 [謀叛] 자기 나라를 배반하고 남의 나라를 좇기를 꾀함.
모부 [毛浮] 털 담요
모조[耗條] 이자
모지랑이 : [물건] 오래 써서 끝이 닳아 떨어진 물건.
모질다 : 보통 사람으로는 차마 못할 짓을 할 만큼 성질이 악하다.
모질음 쓰다 : 고통을 이기려고 모질게 힘을 쓰다.
모집다 : 허물이나 과실 같은 것을 명백하게 지적하다.
모짝 : (그 밖) 있는 대로 한 번에 모조리 몰아서.
모찌기 : 모판에서 모를 뽑는 일.
목포전 [木布廛] 옷감상
묘의 [妙意] 오묘한 뜻.
무비사 [武備司] 병조(兵曹)에 속하여 군대에 관계되는 모든 서류와 무기, 전함,
점열(點閱), 군사 훈련, 숙위(宿衛)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무시로: 원래는 정착된 노점상 말고 지게를 지거나 엿판처럼 목에 메거나 수레밀고
다니는 노점상.
무인류 [無鱗類] 비늘이 없는 물고기 종류
문계 [問啓] 죄과로 벼슬에서 쫓겨난 사람을 임금의 명으로 승정원의 승지가 계판(啓板)
앞에 불러 그 까닭을 물어서 아뢰던 일.
문도 [門徒] 이름난 학자 밑에서 배우는 제자.
문설주 : 문의 양쪽에 세워 문짝을 끼워 달게 된 기둥.
문원 [文垣/文苑] 1 =홍문관(弘文館). 2 =예문관(藝文館).
문원 [文苑] =문단(文壇). 문인(文人)들의 사회
문형 [文衡] =대제학. 홍문관과 예문관의 으뜸 벼슬. 정이품으로, 태종 1년(1401)에
대학사를 고친 것이다.
미곡전 [米穀廛] 곡식상
미리내 : '은하수'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
미언 [微言] 1 뜻이 깊은 말. 2 넌지시 하는 말. 3 작은 소리로 중얼거리는 일.
미장이 ≒도벽사·미장공·이공(泥工)·이장(泥匠) 건축 공사에서 벽이나 천장, 바닥 따위에
흙, 회, 시멘트 따위를 바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미주알고주알 : 아주 사소한 일까지 속속들이
미행 [微行] 임금이 사대부복장을 하고 궁을 나가서 민심을 살피는 것
민며느리 : [사람] 장래에 며느리로 삼으려고 민머리인 채로 데려다가 기르는 계집아이
밍밍하다 : 음식 맛이 몹시 싱겁다.
'지혜와 정보, 세상 소식 > 스크랩(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선시대 고어사전 (ㅈ ~ ㅎ) (0) | 2015.06.24 |
---|---|
[스크랩] 조선시대 고어사전 (ㅂ ~ ㅇ) (0) | 2015.06.24 |
[스크랩] [정리요약] 기본소득, 세상에 나오다(1) (0) | 2014.11.29 |
국민TV 영상리포트(덕분에 뉴스K 기자들이 얼마나 악전고투하는지 알았습니다) (0) | 2014.10.08 |
[스크랩] 방사능 나오는 아파트.. 이런 `비밀` 숨겨져 있다 (0) | 201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