情
性과情은 서로 상대를 이룬다.
情은 성이 움직인것(性之動)이다.
마음 속에서 아직 발하지 않은 것이 성이다.
사물에 접촉해서 발동하여 나온 것이 곧 정이다.
적연하여 움직이지 않은 것이 性이다.(적연부동:寂然不動)
느껴 통한 것이 情이다.(감이수통:感而遂通)
움직이는 것은 성속에서 나오는 것으로 (性과)별개의 것이 아니다.
그 큰 항목은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慾)이라는 일곱가지가(七情) 있다.
맹자는
측은해하는것,부끄러워하고 싫어하는것,사양하는것,옳고 그름을 가리는것
(惻隱 羞惡 辭讓 是非,측은수오사양시비)이렇게 사단(四端)을 이야기 하였다.
대체로 이것들은 모두 정이다.
性속의 仁이 움직여서 나오면 측은이되고
성속의 義가 움직여서 나오면 수오가되고
성속의 禮가 움직여서 나오면 사양이되고
성속의 智가 움직여서 나오면 시비가된다.
단(端)은 (단서:端緖)실마리이다.
안에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그 단서가 발동하여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
情은 마음의 작용(心之用)이어서 사람에게 없을 수 없다.(性:心之體)
情이라는 것이 좋지 않은 것만은 아니다.
단지 그 정이 되는 것들에는 각기 당연히 따라야 하는 법칙이 있다.
예를 들면 기뻐 해야 할 때 기뻐하고
노여워 해야 할 대 노여워하고
슬퍼해야 할 때 슬퍼하고
즐거워 해야 할때 즐거워하고
측은하게 여겨야할 때 측은해하고
부끄러워하고 싫어 해야 할때 부끄러워하고 싫어하고
시비를 가려야 할때 시비를 가려야 한다.
그래야 그 당연히 따라야 하는 법칙에 들어맞고 발동하여 절도에 맞으며
그런중에 性體(성체:情의 본체인 性)가 이곳(情)에서 유행하여 드러나는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달도(達道:중용장구 ‘화야자는천하지달도야’) 이다.
情이 절도에 맞는 경우는 본성을 좇아나와 善이 된 것으로
다시 선하지 않음이 없다.
정이 절도에 맞지 않는 경우는 물욕(物慾)을 느껴 발동한 것이므로
본성을 좇아 나온 것이 아니며 따라서 善하지 않은 것이다.
맹자가 언급한
사단은 (측은,수오,사양,시비)情중에서 선한 측면만을 지칭하는것이고
칠정(희노애구애오욕)은 선한면과 不善한 면을 합하여 말한 것이다.
'지혜와 정보, 세상 소식 > 스크랩(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의 高3] “선생님 목소리 방해” 뒷자리 쟁탈전 (0) | 2006.10.18 |
---|---|
[스크랩] 6.25 이후, 참담했던 시절의 빛바랜 사진들 (0) | 2006.10.16 |
[스크랩] 四端(사단) -- `맹자_公孫丑章句 上` (0) | 2006.10.16 |
[스크랩]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0) | 2006.10.16 |
아내와 화해하는 이유 (좋은생각 메일진) (0) | 200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