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정보, 세상 소식/스크랩(기타)

[스크랩]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DoDuck 2006. 10. 16. 02:22
 

四端七情論



1. ‘사단’과 ‘칠정’의 관계


①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의 문제이다.

② 사단: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정)

③ 맹자에 따르면 사단은 純善無惡한 것이다.

④ 사덕: 인, 의, 예, 지 (性) - 무선무악

⑤ 칠정: 희, 노, 애, 구, 애, 오, 욕 (情) - 유선유악

⑥ 문제점: ③과 ⑤는 같은 情임에도 불구하고 동일개념으로 보지 않는다.



2. ‘성’과 ‘정’의 관계


① 성은 정의 근거가 되고 성이 움직이면 그것이 정으로 바뀐다.

② 칠정은 정이고, 정의 근거는 성이므로 칠정도 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칠정도 순선무     악한 것이라는 모순이 발생

③ 주자는 사단에도 부중절(不中節)이 있다고 한 적이 있는데 이것은 사단도 순선무악이 아     니라는 모순을 인정하는 결과를 야기함


3. 사단칠정론

 

이황

기대승

이황의 초기입장

①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라는 이원론을 주장

 

제1서

①사단=정=칠정이라는 일원론을 주장함. 그러므로 理發, 氣發로 나누면 오류이다. 

②칠정은 인간의 심리현상을 통칭한 것이며 그 중에서 선한 것이 사단이다. (칠정>사단)

제1서 답장

① 사단, 칠정이 다 같이 情임을 인정함

② 그러나 사단=본연지성(이), 칠정=기질지성(기)으로 나누었다.

③ 사단: 인, 의, 예, 지에서 발생, 칠정: 외물에 감촉되어 발출 즉 발생 근원에 따른 구별을 인정

제2서

① 칠정: 사단, 비사단으로의 구분을 인정하면‘본래의 사단 속의 선’과 ‘칠정 속의 선’을 두 개의 선과 정이 존재하는 오류를 범한다.

② 성: 본연지성, 기질지성의 구분을 인정하지만 정: 본연지성, 기질지성의 구분을 부정

③ 또 주자의 사단 속의 부중절은 사단이 순선무악이 아님 인정한 것임을 덧붙임

제2서 답장

① 사단=정=칠정의 개념을 인정함. 그러나 리중심의 사단과 기 중심의 칠정의 구분을 계속 주장함

② ‘기 없는 리가 없다’는 주자의 입장을 긍정하면서 그것을 근거로 리와 기를 나누어

이해하는 자신의 입장을 강조함

③ 맹자의 사단을 주리적인 측면에서 말한 것으로 규정하고, 사단의 부중절(不中節)을 인정하지 않음 

사단이 발하는 것은 순리이기 때문에 선하지 않음이 없고, 칠정은 기를 겸하였으므로 선악이 있다.

제3서

① 사단은 리발이지만, 칠정은 기발이 아니다. 사단과 칠정은 다 같은 근원을 가지고 있다.

② 칠정 중에 중절한 것은 사단과 마찬가지로 리에서 발한 것이므로 사단은 칠정 중에 중절한 것이다.

③ 정이 발하는 것은 리가 움직임에 기가 갖추어지고 혹은 기가 감응함에 리가 탄다.

④ 사단=칠정=정의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면서 이황의 입장을 일부분 수용함

⑤ 즉 정을 사단과 비사단으로 나누고 사단은 리가 움직임에 기가 갖추어 지는 것이고,비사단은 기가 외물에 감응하여 움직임에 리가 타는 것으로 봄

⑥ 정이 어떤 경우는 선이 되고 어떤 경우는 악이 되는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임

  

 

 


4. 논쟁의 평가

① 주자학의 리기와 사단칠정을 개념적 차원에서 더욱 정확하게 이해했던 것은 분명 기대승     이다.

② 주자학의 기본명제인 리기의 불가분리성과 사단과 칠정에 대한 범주의 분석도 주희의 심     성론 체계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③ 그러나 과연 누가 주자학의 기본 이념에 충실하였는가를 따져 본다면 이황이 이에 더 가     깝다고 할 수 있다.

④ 주자학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물리적 법칙이 아니라 일체의 사물을 지배하는 도덕적      표준을 객관적 사물에서 찾고자 한 것이기 때문이다.  

⑤ 이는 선과 악을 서로 대응하는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개인의 행위에 대한 자기 반성적     수양을 무엇보다 중시한 이황의 의지에 더욱 가깝다.


5. 논쟁의 의의

① 이와 기사이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함으로써 성리학적 인식론의 새로운 지평을 열     었다.

② 즉 주자학의 이론을 넘어선 인간 심성론의 체계를 수립함

③ 세계관과 인간관의 일관성을 지니는 논리적 정합성의 획득

④ 심성론과 이기론의 결합이 훨씬 다양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이     다.

출처 : 경남대철학인들
글쓴이 : 아마데우스 원글보기
메모 :